문학∙영상대학 문예창작과 1,2학년 교육과정 표
학년 | 1학년 | 2학년 |
---|
구분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전공필수 |
31119, 20
|
#시창작기초1, 2
| 4 | 4 |
31127, 8
|
#시창작연습1, 2
| 4 | 4 |
---|
31088, 9
|
#소설창작기초1, 2
| 4 | 4 |
31096, 7
|
#소설창작연습1, 2
| 4 | 4 |
31358
|
국어문법과문장론
| 3 | - |
31382
|
현대시강독
| - | 3 |
31359
|
한국문학사
| - | 3 |
31383
|
현대소설강독
| - | 3 |
| | | | 31384 | #시창작과퇴고 | 3 | - |
| | | | 31385 | #소설창작과퇴고 | 3 | - |
전공선택 |
31356
|
문학과철학
| 3 | - |
31317
|
문예사조
| 3 | - |
---|
31366
|
표현과어휘1
| 3 | - |
31368
|
장르문학강독1
| 2 | - |
31357
|
문학과역사
| - | 3 |
31321
|
현대비평사
| - | 3 |
31387
|
현대서양문학강독
| - | 3 |
31321
|
희곡과드라마
| - | 3 |
| | | |
31371
|
문학과신화
| - | 2 |
| | | |
31388
|
고전서양문학강독
| 2 | - |
문학∙영상대학 문예창작과 3,4학년 교육과정 표
학년 | 3학년 | 4학년 |
---|
구분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전공필수 |
31129, 30
|
#시창작연습3, 4
| 4 | 4 |
31131, 2
|
#시창작연습5, 6
| 4 | 4 |
---|
31098, 9
|
#소설창작연습3, 4
| 4 | 4 |
31100, 1
|
#소설창작연습5, 6
| 4 | 4 |
31372
|
현대시의이론
| 3 | - |
31377
|
문학비평의실제
| 3 | - |
31373
|
현대소설의이론
| 3 | - | | | | |
31333
|
현대시인론
| - | 3 | | | | |
31334
|
현대작가론
| - | 3 | | | | |
전공선택 |
31338
|
창작심리학
| 3 | - |
31378
|
출판편집및창업
| 3 | - |
---|
31367
|
표현과어휘2
| 3 | - |
31379
|
문학과영상
| 3 | - |
31376
|
동화와창작
| 3 | - |
31355
|
비교문학
| - | 3 |
31374
| 현대동양문학 | - | 3 |
31369
|
장르문학강독2
| - | 2 |
31375
| 현대비평의 쟁점 | - | 3 |
31381
|
지역문학강독
| - | 3 |
31380
| 문학과콘텐츠 | | 2 | | | | |
#표한 과목은 전공실기 교과목
- 시창작기초1, 2
- 시의 본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직접 창작을 해보고, 자작품을 함께 토론하며, 시에 관한 기초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 검토케하여 시 창작에 관한 기초 실력을 갖추게 한다.
- 소설창작기초1, 2
- 소설에 관한 기초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소설 창작상 기술적 이론과 실제를 분석, 검토하는 기회를 부여해 소설 창작에 관한 기초 실력을 갖추게 한다.
- 국어문법과 문장론
- 문장부호사용법, 띄어쓰기, 비문 피하기 등 명확한 문장 쓰기와 문필 활동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한 문장을 쓰는 데부터 한 편의 글을 완성하는 데까지 요구되는 문학적 실천의 기본기를 익힌다.
- 한국문학사
- 한국 고전 문학의 상고시대에서부터 조선 후기까지 우리 문학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문학사적으로 정리하고 한국 현대 문학의 형성기에서부터 오늘날의 한국 문학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제 세계의 변화에 따른 한국 문학의 역사적 전후 관계와 그 정체성을 살펴본다.
- 현대서양문학강독
- 현대 서양문학 전반에 대해 탐구하고. 주요 작품들을 읽을 기회를 제공한다.
- 문학과철학
- 철학적 독해 및 철학적 사유를 통해 문학에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하는 토대를 마련하고 철학적 상상력을 키운다.
- 문학과역사
- 문학과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계 역사와 국내 역사의 제반 지식과 역사적 상상력을 키운다.
- 표현과어휘1
- 문예창작에 필요한 풍부한 어휘를 습득하여 글쓰기 속에서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시창작연습1, 2, 3, 4, 5, 6
- 시의 작법과 문학 이론을 총괄적으로 분석, 검토하면서 창작한 학생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 창작의 방법, 기법, 전개 등의 문제점을 토론하는 방법을 배운다.
- 소설창작연습1, 2, 3, 4, 5, 6
- 소설의 작법과 문,학 이론을 총괄적으로 분석, 검토하면서 학생들의 창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창작의 방법, 기법, 전개 등의 문제점을 토론하는 방법을 배운다.
- 현대시강독
- 한국 현대 시 문학사에서 정리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작품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오늘의 시 작품과의 정신사적 측면을 살펴본다.
- 현대소설강독
- 현대 소설의 기원, 성격, 유형 등을 규명하고, 현대 소설의 여러 경향과 특수성을 작품을 중심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시창작과퇴고
- 시 창작 작품의 마무리 작업인 퇴고 과정을 거쳐 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도록 한다.
- 소설창작과퇴고
- 소설 창작 작품의 마무리 작업인 퇴고 과정을 거쳐 소설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도록 한다.
- 문예사조
- 문예의 변천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문예 사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에 대한 체계적 사고를 가지게 한다.
- 희곡과드라마
- 희곡의 요소, 형태, 양식 등에 관한 포괄적 지식을 위해 동서양의 고전 명작 희곡을 연구·분석한다. 그리고 희곡 공연물로서의 연극의 영역과 드라마 대본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미디어와의 관련성을 탐구한다.
- 현대비평사
- 한국 현대 비평의 발전 과정을 핵심이 되는 비평 방법과 비평가 등을 중심으로 하여 연대순으로 정리하여 살펴본다.
;
- 장르문학강독1
- 로맨스, 환타지, 추리소설 등 장르문학 텍스트를 강독한다.
문학과신화
- 신화를 통해 인류 공통의 의식에 도달하려는 시도로써 신화적 상상력을 키운다.
- 현대시의이론
- 현대시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과정, 현대시의 비유적 특징과 시어의 변화, 현대시를 읽어 내과 분석 방법 등을 살펴본다.
- 현대소설의이론
- 소설 발생론부터 소설의 철학적 이해에 이르기까지 현대 소설문학에 대한 주요 이론적 유산들을 정리하고 이 이론들을 작품 이해와 연관 지어본다.
- 현대시인론
- 한국 현대 시문학사에 큰 봉우리를 이룬 시인에 대한 작품 연구를 통하여 시창작의 기법과 시사의 흐름을 익힌다.
- 현대작가론
- 현대 작가들의 문학사적 위치를 재정립하고 역사적, 사회적 영향력 및 그 작가 고유의 문학성을 고찰한다.
- 현대동양문학
-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양 삼국의 문학사의 전개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작품과 작가의 양력을 살펴 문학 이해의 폭을 넓힌다.
- 창작심리학
- 프로이드와 라캉, 융 등과 같은 서구의 정신 분석가에 관한 이론적 접근과 인간의 무의식과 욕망체계 등을 보가 심도 있게 고찰하고, 창작 실제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현대비평의쟁점
- 다양한 해석이론들이 제공한 주요한 비평 개념과 방법을 선택해 그 쟁점을 파악하고 텍스트에 대한 접근방법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비평적 사로를 보다 깊게 함양한다.
- 표현과어휘2
- '표현과 어휘1'의 심화과정으로 풍성한 표현능력과 다채로운 어휘를 습득하도록 한다.
- 동화와창작
- 동화를 창작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창작기법을 익히도록 한다.
- 문학과콘텐츠
- 문학을 다른 예술영역의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스토리텔링 및 서사문학의 문화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 문학비평의실제
- 해석이론과 다른 측면에서 비평철학의 객관적 의의와 비평 행위의 본질을 고찰하고 문학 텍스트를 해석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비평을 연습해본다.
- 출판편집및창업
- 출판, 잡지, 신문의 편집 이론 및 실무를 포함해 창업을 위한 실질 교육으로 현장 적응 능력을 함양하고 준비한다.
- 비교문학
- 비교문학의 역사, 정의, 방법, 한국 문학에 끼친 세계 문학의 영향과 수용, 문학과 예술, 사회, 정치와의 관계 등을 살펴본다.
- 문학과영상
- 문학이 영상매체에 활용되거나 영상이 문학 창작에 활용되는 과정과 문학과 영상의 상호관계를 연구한다.
- 장르문학강독2
- '장르문학강독1'의 심화과정으로 SF, 역사소설, 무협소설, 호러 등 다양한 장르문학 텍스트를 강독한다.
고전서양문학 강독고전 서양문학 전반에 대해 탐구하고, 주요 작품들을 읽을 기회를 제공한다.- 지역문학강독
- 영미문학 및 유럽문학 외에 스페인문학, 아랍문학, 아프리카문학 등을 대상으로 지역문학을 강독하고 지리적 상상력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