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영상대학 영상시나리오과 1,2학년 교육과정 표
학년 | 1학년 | 2학년 |
---|
구분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전공필수 |
32002, 3
|
#시나리오연습1, 2
| 4 | 4 |
32015, 6
|
#시나리오연습3, 4
| 4 | 4 |
---|
32066, 67
|
영화스토리100 1, 2
| 2 | 2 |
32068, 69
|
영화스토리100 3, 4
| 2 | 2 |
73001
|
영화개론
| 3 | - |
| | | |
73002
|
시나리오론
| 3 | - |
|
| | |
전공선택 |
73011
|
영상기술론
| 3 | - |
32017
|
애니메이션대본
| 3 | - |
---|
32006
|
시나리오기획의 이해
| - | 3 |
32019
|
인물론
| 3 | - |
32007
|
신화구조론
| - | 3 |
32020
|
영화연출론
| 3 | - |
32012
|
세계영화사
| - | 3 |
32023
|
한국영화사
| 3 | - |
32063
|
콘텐츠개론
| - | 3 |
32018
|
교양․다큐멘터리대본
| - | 3 |
| | | |
32026
|
영상미학
| - | 3 |
| | | |
73019
|
영상편집론
| - | 3 |
문학∙영상대학 영상시나리오과 3,4학년 교육과정 표
학년 | 3학년 | 4학년 |
---|
구분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교과목번호 | 과목 | 학점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전공필수 |
32029, 30
|
#시나리오연습5, 6
| 4 | 4 |
32058, 9
|
#졸업작품연구1, 2
| 1 | 1 |
---|
32070, 71
|
영화스토리100 5, 6
| 2 | 2 |
32072, 73
|
영화스토리100 7, 8
| 2 | 2 |
|
| | |
32060
|
#시나리오피칭
| - | 3 |
전공선택 |
32032, 3
|
TV드라마극본1,2
| 3 | 3 |
32065
|
모바일콘텐츠
| 3 | - |
---|
32034
|
각색론
| 3 | - |
32064
|
장르스토리분석
| 3 | - |
32036
|
연기론
| 3 | - |
32038
|
스토리텔링전략
| - | 3 |
73025
| 영상작가론 | 3 | - |
32055
|
영상시나리오실습
| - | 4 |
32042
| 영상제작워크샵 | - | 4 |
|
| | |
32057
| 기획안실습 | - | 3 |
|
| | |
#표한 과목은 전공실기 교과목
- 영화개론
- 영화의 장르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시나리오 창작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 시나리오연습1, 2, 3, 4, 5, 6
- 시나리오에 관한 이론과 실기를 영화 모니터와 이미지 발상 훈련 등의 다양한 수업 방식을 통해 배우고 그 가운데 직접 시나리오 쓰기의 실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작품 발표를 통해 시나리오 쓰기 훈련과 평가를 병행한다.
- 시나리오론
- 시나리오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시나리오 창작의 기술적 이론과 실제를 분석·검토하는 기회를 부여해 시나리오 창작에 관한 기초 실력을 갖추게 한다.
- 신화구조론
- 그리스, 로마 신화를 중심으로 하는 각 지역의 신화의 연원(淵源)과 구조를 연구하면서 현대영화와 드라마 구조에서의 연관성을 찾아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영상기술론
- 영화제작 기술의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시나리오기획의 이해
- 시나리오 기획에 있어 요구되는 산업의 매커니즘을 연구하고 각 부분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의 소구를 조사하는 과정을 배운다.
- 세계영화사
- 세계 영화 역사의 고찰을 통해 영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며 영화가 당대의 사회적 현실과 어떻게 맞물려 왔는가를 해명한다.
- 이미지와 글쓰기
- 영상화를 위한 기본적인 글쓰기 방법론을 배우고 훈련을 통해 시나리오 작업의 기초적인 소양을 익힌다.
- 대중예술연구
- 대중문화와 고급 예술의 차이와 대중문화의 흐름, 현대 대중문화의 주도적 흐름과 방향을 알아보고 대중문화 속에서의 영상문화의 의미를 짚어본다.
- 영상미학
- 영상의 독자적 미학의 특성을 기존 예술 미학과 비교·분석 연계하여 영상의 예술 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주지한다.
- 영상편집론
- 영화 문법에 따른 영상 편집론 또는 영화 구문론을 배운다.
- 영화연출론
- 영화언어의 문법과 표현양식에 관한 이론 연구와 실습을 통해 영상언어의 표현술을 연구한다.
- 인물론
- 시나리오에서의 등장인물을 연구한다.
- 애니메이션대본
- 기존 애니메이션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과 산업적인 분석을 함께 시도하여 애니메이션 대본의 창작 방법을 습득한다.
- 교양·다큐멘터리대본
- 교양 프로그램과 다큐멘터리 작품의 특성, 구조를 이해하고 창작 방법론의 연구를 통해 논픽션 시나리오의 창작을 위한 지식을 함양한다.
- 한국영화사
- 한국 영화의 역사적, 사회적 변화를 고찰하고 최근 한국 영화의 흐름을 탐구하여 한국 영화의 흐름을 파악함과 동시에 한국 영화의 위상을 정립한다.
- 영화와 심리학
- 응용 심리학인 임상·상담 심리학, 산업·조직 심리학, 건강 심리학, 광고 심리학, 범죄 심리학 등을 영화 속 캐릭터, 상황에 적용하여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생리, 인지, 성격, 발달, 사회 행동, 이상 행동을 알아보고 창작물에 반영한다.
- 연기론
- 텔레비전과 영화의 연기를 간단한 실습과 이론을 통해 배운다.
- 영상작가론
- 영상언어로 자신의 예술 세계를 구현한 작가의 생애와 그 작품에 관해 연구한다.
- 시나리오작가론
- 시나리오작가의 대표적 작품을 탐구하여 작가 고유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창작 방법론을 고찰한다.
- 영상제작워크샵
- 이론과 실습을 통해 영상물을 직접 제작하며, 작품 발표를 통해 창작 의욕을 고취시킨다.
- TV드라마극본1, 2
- TV편성의 관건이 되는 드라마 기획서의 작성방법과 단막극, 미니시리즈 등 다양한 포맷의 드라마 대본 집필 과정을 이해하며, 대중 매체의 대표인 TV의 영향력과 작가의 책임에 대하여 배운다.
- 각색론
- 소설, 만화, 게임 등의 콘텐츠를 시나리오로 재구성하는 수업으로 각색하기 이전의 초기 컨텐츠 매체의 성격과 원작에 대한 충분한 이해로 영상화하기에 적합한 시나리오를 만드는 과정을 학습한다.
- 기획안실습
- 기획이 개념 정리 및 원리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기반으로 영화, 방송 산업의 구조화 트렌드, 장르 등을 팀 활동을 통해 분석하고 직접 기획안을 만들어 보면서 현 시장을 기준으로 현실적 대응력을 확보한다.
- 졸업작품연구1, 2
- 담당교수와 1:1 멘토링 수업으로 수강생 각자가 준비하는 작품의 기획에서부터 시나리오 완성에 이르기까지 개별지도와 방향 제시를 병행하며 향후 진로나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강생의 자기개발 및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 시나리오피칭
- 졸업 후 다양한 자리에서의 자기소개, 시나리오 발표시 필요한 자세, 스피치, 요약 능력 등을 쌓기 위한 피칭 자료 준비 및 발표 훈련을 통해 졸업 작품(시나리오)을 5분 내외로 피칭하는 방법을 배운다.
- 영상시나리오실습
- 영상물의 제작 현장을 실습함으로써 이론과 실제(현장)를 체험하도록 한다.
- 영상비평세미나
- 세계적인 영상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미학적 특성과 주제의 표현방법을 탐구하며, 비평 방법을 통한 작품의 해석과 평가로 창작 이론과 기술의 향사에 기여하도록 한다.
- 장르시나리오분석
- 투자심사와 캐스팅이 완결된 시나리오, 상영 전의 시나리오를 장르적 프레임으로 분석하고 토론한다.
- 스토리텔링전략
- 학문적 이론을 토대로 다양한 기획을 생산하는 훈련을 하되 지속적으로 대중문화산업 현장의 피드백을 제공받아 보다 산업 현장에 근접한 아이템으로 발전시켜갈 수 있도록 한다.
- 뉴미디어콘텐츠
- 각 매체의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연구하여 그에 적합한 모델을 구축함과 동시에 현장에 적합한 훈련을 수련해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