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경력
현) 추계예술대학교 교양학부장, 교육혁신원장, 성과관리센터장
현)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 이사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심사평가위원
전) 이화여자대학교 특임교수
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초빙교수
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초빙교수
주요 저(역)서
온라인 교육과 평생학습(역서). 서울:아카데미프레스
질적연구방법과 실제(저서), 서울:도서출판 그린
가치와비전 교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창의와실천 교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TU-PBL GUIDEBOOK,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주요 연구
<사이버교육과정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연수원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
<맞춤형 교원 집중 연수 프로그램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연수원
<능력향상 의무연수 프로그램 및 운영 매뉴얼 개발 연구> 교육부
<기업 이러닝에서의 성취도, 전이 및 경영성과 측정을 위한 종합모형개발> 한국연구재단
<원격평생교육의 통합적 성과모형 개발> 한국연구재단
<공과대학 혁신 우수 모델 사례 발굴 및 확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학교육에서의 Active Learning 적용 방안 연구>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
<컨소시엄 형태의 원격대학을 위한 강좌평가 척도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1), 197-220.
<유아의 건전한 ICT 활용을 위한 ICT 활용 환경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38(1), 51-73.
<가정에서의 올바른 유아 ICT 활용환경에 관해 부모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1(4). 517-528.
<공무원 사이버강좌 만족도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38(3), 75-91.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1), 109-120.
<기업 사이버교육에서의 중도탈락 원인규명 척도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1), 99-121.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동기 측정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기업교육연구, 10(1), 47-64.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115-135.
<사이버교육생의 자기효능감, 내적통제소재, 조직의 지원, 몰입, 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공학 연구, 26(1). 25-55.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12). 958-968.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성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7(2). 461-475.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의 학습 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공학교육연구, 20(5). 34-42
<공학교육에서의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공학교육연구, 22(6).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5(4). 21-34.
<핵심역량 기반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문화와 융합, 44(4), 263-278.
<문화예술대학 신입생의 대학적응 및 진로탐색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 문화와 융합, 45(11), 185-199.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12). 958-968.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성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7(2). 461-475.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의 학습 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공학교육연구, 20(5). 34-42
<공학교육에서의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공학교육연구, 22(6).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5(4). 21-34.
<핵심역량 기반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문화와 융합, 44(4), 263-278.
<문화예술대학 신입생의 대학적응 및 진로탐색을 위한 교양 교과목 개발> 문화와 융합, 45(11), 185-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