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표
홈페이지 학사안내 교과안내
교과과정 바로가기
교과명 | 해설 |
전공실기1,2,3,4,5,6,7,8 | 4년동안 정악, 산조, 창작음악을 1:1 레슨을 통해 교습받으면서 다양한 레퍼토리의 악곡의 연주기법, 악곡의 해석 능력과 표현방법을 연구하며 훌륭한 연주자로서의 기반을 다진다. |
연주와 비평1,2,3,4,5,6,7 | 매 학기마다 한번의 독주를 함으로써 본인의 실질적인 연주기량과 실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무대 경험을 쌓고 예비 예능인으로서의 자질을 기른다. |
시창•청음1,2 | 단계별로 level을 나누어 초견악보를 읽고, 노래부르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1.2 학년 동안 독보력, 성음력, 가창력을 기르는 훈련을 받음으로써 음악가로서의 기초실력을 기른다. |
국악관현악1,2,3,4,5,6,7,8 | 창작음악을 위주로 초견과 협연 및 합주의 훈련으로 연주자의 합주 기량을 연마하고 새로운 국악 곡의 해석 능력과 감각을 익힌다. |
동서 기초악전비교론1,2 | 구음으로 악보를 읽고 노래하여 국악 선율 구조의 개념을 이해하고, 구음과 율정의 차이를 통해 국악의 이해를 돕는 수업이다. |
국악합주1,2,3,4 | 여러 형태의 합주곡을 연주함으로써 다른 악기들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훈련과 독주 때와는 다른 합주에서의 자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경험을 쌓게 한다. |
관악합주1,2,3,4,5,6,7,8 | 국악기 중 관악기를 위주로 하는 관악합주 수업은 관악기 전공자들의 호흡과 기량을 향상시켜주는 수업이며 관악곡 중심으로 학습한다. |
현악합주1,2,3,4,5,6,7,8 | 국악기 중 현악기를 위주로 하는 현악합주 수업은 현악기 전공자들의 합주능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정악, 민속악, 창작음악을 학습한다. |
무대 무용 실습1,2,3,4,5,6,7,8 | 전통음악 중 성악곡을 위주로 하는 성악합창수업은 성악 전공자들의 호흡과 기량을 향상시켜주며, 이에 수반되어야 하는 발림을 학습시키고자 무용을 가르친다. |
국악개론1,2 | 국악의 기초 이론을 단계별로 학습하여 전공실기 및 이론을 수학하는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본인의 전공악기와 연대하여 폭넓은 사고를 갖게 한다. |
Traditional wind instruments(소금)1,2 | 관악기 중심의 선율 구조로 되어 있는 우리 음악을 기악실습을 통하여 여러가지 곡을 체험함으로써 악기의 연주 기량을 높여 개개인의 음악적인 재능을 신장하고 합주에 의한 음악경험과 악기 고유의 표현력을 통한 우리 음악의 선율 이해를 도모한다. |
동서 융합실내악 A,B | 실내악곡 또는 합주곡을 통하여 개인적인 기량과 합주할 수 있는 능력을 연마한다. |
단가1,2 | 판소리의 음악적 연구와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단가를 실습한다. |
경서도창1,2 | 민요의 제반 이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경기민요나 서도민요를 실제로 학습하여 기초 이론과 실습의 기회를 갖는다. |
공연기획1,2 | 공연기획을 한다는 것은 공연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시작하여 준비과정, 제작과정, 공연홍보 및 마케팅, 공연, 공연 후 평가 및 정산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을 의미한다. 본 수업에서는 전통예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특성의 공연을 기획하는 과정을 수학한다. |
Improvisation 민속악합주5,6 | 여러 형태의 민속악곡을 연주함으로써 다른 악기들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훈련과 독주 때와는 다른 합주에서의 자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경험을 쌓게 한다. |
국악사1,2 | 고대 국가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악의 발달과정, 시대별 양식의 변화, 주변국과 서구 음악의 영향, 악기의 변화와 개량, 국악 사회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고 한국사에서의 국악의 역할과 우리 민족의 음악 예술의 정신을 이해한다. |
Global rhythm 실습1.2 | 음악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리듬이다. 구음과 보디 퍼커션(손장단)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리듬이 있는 전통 장단을 배우고 서양 및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리듬과 비교 연구한다. Global 시대에 걸맞게 국악 전공자 및 서양음악 전공자가 동, 서양의 여러 리듬을 함께 경험하고 배움으로써 졸업 후 융합적인 음악 활동 능력을 키우기 위해 신설함. |
기초 ai 국악실험 1.2 |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부분에서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다. 국악에서도 인공지능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국악의 선율과 시김새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물과 학생이 연주한 자료를 인공지능과 합작하여 새로운 창착국악을 학생들이 만들어 보는 수업이다. |
국악 보컬트레이닝1,2 | 국악 보컬 트레이닝 - 국악 성악 전공 학생들에게 대중음악 창법을 트레이닝하는 수업으로 전통에서 벗어나 대중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중적 창법을 가르치는 수업이다. 대중음악의 올바른 이해와 다양한 장르 및 스타일의 노래들을 학습하고 분석하며, 대중음악의 특징과 구조를 파악하고 국악 성악과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지 연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국악 성악과 대중음악의 융합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두 분야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음악적 창작과 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